본문 바로가기

조현병(Schizophrenic Disorder) - 5.유형 조현병(Schizophrenic Disorder) 5. 유형 조현병에는 그 증상과 경과에 따라 여러 유형이 있다. 극단적으로 100명의 정신분열병 환자가 잇으면 100개의 유형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옳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몇 개의 유형을 정해서 그대로 사용해오고 있는데, 꼭 맞는 환자는 드물다. 1) 망상형(paranoid type) 관계 망상(idea of reference), 피해 망상(persecutory delusion) 등 망상이 주로 나타나며, 이러한 망상은 체계화 되어 있지 않고 논리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환청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망상이나 환청에 비하여 사고 과정의 장애는 심하지 않는 유형이다. 2) 혼란형(disorganised type, hebephrenic type..
조현병(Schizophrenic Disorder) - 4.진단 조현병(Schizophrenic Disorder)4. 진단 1) 발병 양상 갑자기 발병해서 누가 보아도 이상하다고 느끼는 때가 있으나, 매우 천천히 발병하여 차츰 증상이 들어 다는 경우가 있으며, 초기에는 증상을 발견하기 어려워 치료받으러 올 때는 이미 수년이 경과한 경우가 많다. 뚜렷한 증상이 나오기 전의 증상을 전구 증상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여러 날, 여러 달, 심지어 1년 간 지속되는 수가 있다. 발병 연령은 남자의 경우 개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 사이에, 여자의 경우 대개 20대에서 30대 초반에 발병하지만, 소아에서도 발견되고, 30대 이후에도 발병되므로 어느 나이에서나 다 생길 수 있는 병이다. 대개 과거를 돌이켜 볼 때 증상이 뚜렷이 나타나기 전에 이미 조금 이상했었다는 점을 알아낼 ..
조현병(Schizophrenic Disorder) - 3. 증상 조현병(Schizophrenic Disorder) 3. 증상 조현병의 증상은 매우 다양해서 환자들 간에도 그 증상이 서로 다르다. 또한 정신기능의 여러 가지 이상, 밖에서 보이는 형태상의 이상 등이 사실 하나씩 떼어놓고 보면 정신분열병이 아닌 경우에도 볼 수 있는 증상인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이 정신분열병인지 아닌지는 가족들은 물론 전문의 조차도 환자만 보아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있다. 더군다나 병이 심해진 상태에서는 환자가 자기가 이상하다는 것을 모르고 주변 사람들을 경계하기 때문에 자기가 겪는 경험을 말로 잘 표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정신분열병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증상과 증후를 알아두는 것은 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병의 악화를 미리 알아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정신분..
조현병(Schizophrenic Disorder) - 2. 원인 조현병(Schizophrenic Disorder) 2. 원인 조현병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존재해 왔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정신분열병을 하나의 독립된 병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800년대 초반부터였고, 정신분열병이란 말이 처음 등장한 것은 놀랍게도 1911년의 일이다. 따라서 조현병은 아주 최근에 발견된 병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정신분열병의 원인에 대한 연구는 다른 신체 질병에 비해 극히 초보적 단계에 머물러 있다. 정신분열병에 대한 신경학적인 연구는 거의 대부분 지난 20여년 사이에 이루어진 것들이다. 정신분열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지 못한다. 현재로서 가장 사실에 가까운 것은 “조현병은 어느 한 가지 원인이 아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발병한다.”는 것이다. 조현병의 정확한 원인을 밝..
피부계통 의학용어 피부계통 의학용어No.의학용어의미No.test의미1subcutaneous피부밑, 피하의 2dermatologist피부과 전문의 3hypodermic피하의, 피부밑 4cyanosis청색증 5erythema홍반 6hidrosis발한 7keratosis각화증 8melanoma흑색종 9leukocyte백혈구 10scleroderma피부굳음증 11carcinoma암 12epidermoid표피모양 13hyperhidrosis다한증 14abrasion찰과상 15scraping긁히거나 16rubbing away문질러서 17friction마찰 18abscess농양, 고름집 19acne여드름 20alopecia탈모증, 털빠짐 21burn화상 22redness발적 23pain통증 24blistering물집 25bullae수..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정의 및 진단 1)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의 임상적 차이. 제1형 당뇨병제2형 당뇨병갑자기 발병점진적 발생일부에서 케톤산증 혼수 등을 동반한 심한 증상거의 무증상최근의 체중감소체중감소가 흔하지 않음대부분 마른 체형대부분 비만자연적인 케톤산증무케톤산증C-peptide 음성C-peptide 측정됨자가면역 표시작의 존재(소도세포 항체 등)자가면역 표식자의 부재 2) 당뇨병의 진단. 진단공복혈당당부하검사 후 2시간 혈당당화혈색소정상= 126 mg/dL>= 200 mg/dL>= 6.5% 3)당화혈색소 당화혈색소(HbA1c) : 검사일 전 2~3개월 동안의 평균혈당상태를 반영하는 혈당 조절 지표.- 정상 : =6.5%- 혈당조절 목표 공복 < 130 mg/dL, 식후 < 180 mg/dL, 당화혈색소 ..
혈청화학검사(Serum chemistry) ☞ 혈청화학검사(Serum chemistry) 혈청화학검사는 간, 신장과 같은 장기의 기능, 전해질 상태, 호르몬 농도 등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특히 노령 반려동물, 구토 또는 설사를 보이는 환자, 독성 물질에 노출된 환자, 오랫동안 약물 치료를 받는 환자, 마취 전 건강 상태 체크에 매우 중요하다. 1) ALB(albumin; 알부민) : 알부민은 혈청 단백질로 환자의 수화상태, 출혈, 장, 간, 신장의 질병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Albumin Albumin은 피 속의 주요 단백질의 하나로 조직, 세포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이나 약물을 운반하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수치가 정상치(3.5-5.0g/dl)보다 높을 경우 영양과다를, 정상치보다 낮을 경우 탈수증, 영양불..
일반혈액검사(CBC; Complete Blood Count) ☞ 일반혈액검사(CBC; Complete Blood Count): CBC는 환축의 수화상태(hydration status), 빈혈(anemia), 감염(infection), 혈액 응고 능력,면역계의 반응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1) HCT(hematocrit; 헤마토크릿트) - 5.5-8.5 M/㎕ : 혈액 중 적혈구(RBC; red blood cell)의 비율로 빈혈과 수화 상태를 나타냅니다. 2) Hb((hemoglobin; 헤모글로빈) 12-18 g/dl and MCHC(평균 헤모글로빈 농도) - 33-37 g/dl : 적혈구에 들어있는 산소를 운반하는 색소입니다. * Hemoglobin 각 장기로의 산소 운반기능을 하는 Hemoglobin의 생산량을 검사하는 것으로 수치가 정상치(남 13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