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병원 입원환자 정기 사물함 검사는 사생활 비밀·자유 침해!? 현재 대부분의 정신의료기관에서는 정기적으로 사물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그 이유는 몇몇 환자분들 중에서 자&타해 위험이 될 수 있는 물건을 소지하고 있으며 실제로 제가 일 하고 있는 병원에서는 근무자가 환자가 숨겨 놓은흉기를 발견한적이 다분히 있고 또 타 환우에게 해를 입히는 것을 종종 보고는 하기 때문에 예방적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는 2일2일' 정신의료기관이 주 1회 정기적·일률적으로 실시하는 사물함 검사가 입원환자의 사생활 비밀과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또 '합리적으로 그 필요성이 인정되는 범위 내 환자들로부터 사전 동의를받아야 하고, 거부하는 경우 사물 검사가 꼭 필요한지 개별 검토해 기록으로남겨야한다'라고 덧..
사고 내용(thought content)의 장애 ▣ 사고 내용(thought content)의 장애 1) 환자의 사고의 주제는 무엇인가 - 어느 한 주제에 집착해있는가(preoccupied idea), 지나친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는가(overvalued idea) 2) 망상(delusion) 사실과는 다른 잘못된 생각 (false belief)을 하는데, 그 사람의 교육정도나 주변 환경, 문화적 배경, 시대 상황, 인격 등을 고려해 볼 때 도저히 이해가 안 되는 생각이고, 논리적인 설명으로 교정이 안 될 때 ‘망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망상은 그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관계망상(idea of reference, 혹은 delusion of reference)주위에서 일어나느 일들이 모두 자신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 길 ..
나에게 맞는 정신보건기관 찾기. 현재 우리주변에 수 많은 정신보건기관이 있다. 예를 들어 정신건강복지센터, 도박센터, 자살센터 등등... 이 글을 읽는 본인이 '내 주변에 이용 가능한 기관에는 어떤 것들이있는지 확인' 하고 싶다면'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단' -> '알림마당' -> '정신보건기관찾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손 쉬운 방법일 것이다. http://www.nmhc.or.kr/ezboard.php?GID=root&BID=board21
사고장애(Disorders of Thought) ▣ 사고장애(Disorders of Thought) 사고(thought)란 생체 내외로부터의 지각된 자극을 기억이나 상상을 동원하여 해석하고 판단하며, 다른 자극과 통합하여 그 의미를 유추하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개념을 유추해 내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과정은 언어로 표현한다. 대단히 복잡한 과정이고, 따라서 약간의 사고장애가 있을 때는 그만큼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사고란 하나의 관념에서 시작해서 연상을 통하여 어떤 개념을 형성 하게된다.말로 표현될 때, 어는 한 idea에서 시작하여 적절한 연상과정을 거쳐 조리 있게 어떤 개념을 전달하는 것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여름휴가 이야기가 나와서 작년 여름에 친구들과 강릉에 가서 해수욕을 했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다면, ‘나는 작년 여름휴가에는 친..
기분과 정동 장애(Disorders of Mood and Affect) *mood와 affect 차이* ▣ 기분과 정동 장애 (Disorders of Mood and Affect) 1) 환자가 현재 느끼며 객관적으로 보여 지는 감정의 상태를 정동(affect)이라고 하고, 전체 인격과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지속적인 감정의 상태를 기분(mood)라고 한다. 2) 주어진 상황에서 환자의 감정 상태가 적절하거나 혹은 환자의 사고의 내용과 감정의 상태가 일치하는 경우 적절하다(appropriate)고 하며, 일치하지 않을 경우 부적절하다(inappropriate)고 한다. 3) 기분이 좋은 경우☞ euphoria : 도무지 즐거울 일도 없는데 그저 싱글벙글하는 마음의 상태이다. 경조증 혹은 조증 상태(manic state)에서 볼 수 있다.☞ elation : 기분이 우쭐해 있는 상태. 정상적으로도 나타날 수 있..
정신병원 강제입원 한국의 정신병원 강제입원율은 61.6%로, 영국(13.5%), 네달란드(13.2%), 프랑스(12.5%), 이탈리아(12%) 보다 훨씬 높았다. 이는 (구) 정신보건법 제24조 제1항과 제2항의 맹점과 병원의 욕심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 (구) 정신보건법 제24조는 "정신의료기관등의 장은 정신질환의 보호의무자와 2인의 동의 (보호의무자가 1인인 경우에는 1인의 동의로 한다)가 있고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가 입원 등이 필요하다고 판다한 경우에 한하여 당해 정신질환자를 입원 등을 시킬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이 조항은 환자 본인의 동의가 필요 없다는 의미이며 보호의무자들이 입원을 시키려는 대상이 실제로 중증의 정신병을 앓고 있거나, 그로 인해 자신 또는 타인에게 해를 가할 소지가 있으면 긴급피난이나 정당행위..